중국이 27일 자로 지급 준비율을 0.25% P인하하여 7.6%가 된다고 발표했습니다. 지급준비율을 내린다는 것은 그리 좋은 싸인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은행이 가지고 있는 돈이 적어진다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 예로 지급준비율이 8%일 때, 고객이 은행에 100만 원을 맡겼을 때 그중 고객에게 돌려주기 위해 최소한 8만 원은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인데 이것이 7%가 되었을 때는 7만 원 가지고 있게 됩니다. 그것은 곧 은행의 재정건전성이 낮아진다는 뜻이 되지요. 그래서 지급준비율이 떨어진다는 것은 좋은 싸인이 아닙니다.
그렇기에 이러한 뉴스는 중국은행의 재정 건정이 낮아졌다고 이야기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우리가 알아야 하는 것은 세계적으로 은행들의 일반적인 지급준비율은 7~10%입니다. (우리나라 지급준비율은 7%) 그러기에 중국의 7%는 낮은 지급준비율이 아닙니다. 오히려 건강한 편이지요.
그런데 미국의 지급준비율이 얼만지 아세요? 그것은 바로 0%입니다. 즉 미국의 은행들은 고객의 돈 모두를 투자한다고 해서 문제가 될 게 없다는 겁니다. 어떻게 이게 가능할까요? 그것은 미국이닌깐 가능한 거예요.. 어차피 돈이 없으면 새로 찍어내면 되기 때문이죠.
이번 미국 은행의 파산은 여기서 시작합니다. 아무리 지급준비율이 0%라고 하더라도 은행들은 기본적으로 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금액이 있지요.
금리가 오르면서 정부가 은행에서 돈을 계속 회수해 가는 규모가 커 쳤고, 특히 미국 국채를 사 놓읁장기채권은 현금으로 바꾸기 어렵고 점점 돈줄은 점점 말라가고... 이를 눈치챈 개인 고객들도 돈을 빼기 시작하지요.
이러다 보면 돈이 없는 은행부터 무너지게 됩니다. 미국은 지급준비율 부터올려야 합니다. 자기들끼리 돈 몇 푼 모은다고 해결될게 아닙니다. 언제까지 공기금, 즉 국민의 피 같은 세금으로 이런 짓할까요?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분기중에 전기료 또 오르나? (23) | 2023.03.18 |
---|---|
전세대출 3%대 생겼다. (23) | 2023.03.18 |
미국 대형은행 11곳에서 퍼스트리퍼블릭은행에 39조원 지원하기로 (26) | 2023.03.17 |
제주도 아파트 분양가 1평(3.3m2)에 2294만원? (17) | 2023.03.17 |
은행위기 미국이어 유럽으로 (11) | 2023.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