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년후 아파트 공급부족 불보듯…정부도 속수무책
[이데일리 박지애 기자] 건설사의 아파트 착공건수가 2년 새 눈에 띄게 줄어든 이유는 결국 기준 금리 인상에 따른 시장금리 상승으로 자금조달에 큰 부담을 느꼈기 때문이다. 여기에
im.newspic.kr
3년 후 아파트공급 부족이 뻔히 보이지만 지금 상황에서는 정부도 어쩔 수 없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건설 자재 가격이 많이 올랐고, 금리가 너무 많이 올랐기 때문입니다.
더욱이 최근 전세사기로 인해 빌라나 다세대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늘어나면서 다세대 건축도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물론 빌라나 다세대는 아파트에 비해 금방 지을 수 있으니 큰 문제는 아니라고 하지만, 아파트는 3년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기에 큰 문제라고 합니다.
이를 역설적으로 이야기하면 지금 아파트 가격이 많이 내렸지만 2~3년이 지나면 가격이 급격히 오를 거라는 뜻이기도 합니다.
그렇게 생각하면 아파트는 지금이 가장 쌀 때라는 것도 맞겠네요. 물론 현금여유가 되시는 분들에 한해서겠지만요.
금리가 언제 다시 내릴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유럽의 전쟁도 언제 끝날지 모릅니다. 그러기에 건설경기가 언제 다시 살아날지도 모릅니다. 그러니 사실 집을 팔고 사는 게 참 어렵지요.
아무쪼록 모두 이러한 부동산 상황을 잘 살펴보고, 적절히 대응하시길 바랍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믹스(WEMIX) 코인, 김남국 60억 가상화폐 (138) | 2023.05.06 |
---|---|
1분기 생애 첫 주택 매수자 역대 최소 (164) | 2023.05.03 |
JP모건, '파산위기'퍼스트 리퍼블릭 인수 (126) | 2023.05.02 |
삼성반도체 1분기 4.6조 적자, 3분기 D램,4분기 낸드 부활 기대 (82) | 2023.04.28 |
SK하이닉스 1분기 적자 3조 4000억 (159) | 2023.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