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95

인구문제. 2070년 인구중위 62세

우리나라의 인구문제가 심각합니다. 물론 50년 후의 일에 대해 섣불리 예측할 수는 없겠지요. 왜냐하면 그 사이에 우리나라와 전 세계에 어떤 일이 벌어질지 모르니깐요. 하지만 추세라는 건 있는 거잖아요. 출산율이 계속 낮아지고 있는 이때에 특단의 조치가 없다면 2070년엔 인구중위가 되는 나이가 62세가 된답니다. 이는 매우 심각한 문제입니다. 우리나라가 급격히 늙어가고 있다는 것이닌깐요. 일부 선진국처럼 애들을 많이 낳는 사람에 대한 특단의 조치를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재정을 새롭게 짜야겠지요. 근본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없을까요? https://im.newspic.kr/O5Q2OO1 60세도 ‘청년’ 되나…2070년 중위연령 45→62세 전체 인구 중 46.4% 노인 인구 0~14세 유소년..

카테고리 없음 2023.03.10

피지컬100 "조작은 없었지만 피해는 있었다?"=>"음주는 했으나 음주운전은아니다?"

담당 피디는 고추장인지 된장인지 모르는 갑다. 로프가 뻑뻑해서 안돌아갔다면 처음에 보면안다. 근데 진행하다가 당사자가 의문을 표기하니 멈추고, 오디오가 문젠데 10분이나 진행시켰다가 중단하고.. 피디야 네가 10분동안 로프풀다가 다시하라고 해봐라. 달리기도 100m달리기에 최적화 된 사람이 있고... 마라톤에 최적화된 사람이 있는거다. 근데 운영미숙? 장난하나... 처음에 논란되었을때 절대로 그럴일 없다더니 논란이 계속되니 이제서야 하는말이 운영미숙? 이건 제작진에서 사과로 끝내서는 안되고 우승자에 준한 보상을 해야하는거라 생각한다. https://n.news.naver.com/entertain/topic/article/433/0000091399?cid=1108924&gcid=1108924 "조작은 없지..

카테고리 없음 2023.03.10

반 지하주택에 살아보셨나요?

님들 중 반지하 주택에 살아보신적 있으신가요? 제가 총각 때 서초동에서 잠시 반지하집에서 산 적이 있습니다. 서울의 비싼 물가와 이런 저런 이유로 살았었는데 그리 좋은 기억은 없네요. 방 창문을 열면 바로 앞이 주차공간이었기에 문을 열 수가 없었어요. 차 매연이 들어오고 사람들의 발목아래만 보였기에 기분이 참 그랬습니다. 여름에도 방에는 습기가 올라왔는데 이건 시원한게 아니라 집안을 축축하게 만들었고, 장마땐 빗물이 넘쳐 방안에 들어 오기도 했었지요. 지금도 반지하에서 살아가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분들도 거기서 살고싶다기 보다는 어쩔수 없는 선택이시겠지요.. 그나마 저렴한 주거비... 모두 힘을 내십시오. 언젠간 해뜰 날이 올거에요. 언젠간 내집이 생길거에요. 여러분의 인생에 좋은 날이 오길 기도하겠습..

카테고리 없음 2023.03.09

과천 지식 정보타운 3단지 줍줍이. 3년전가격으로

준 강남권인 경기도 과천에 있는 과천정보지식타운 3단지에서 무순위 청약 공고가 나온다네요. 둔촌주공에는 작은 평수였다면 여기는 74m2와 84m2로 총 5개가 뜬다고 합니다. 주변 분양시세를 보면 74m2는 6억 후반대~7억 초반, 84m2는 7억 중반~8억 초반이라고 합니다. 네이버부동산에서 검색해 보시면 아시겠지만 이 가격은 현 전세가격정도 됩니다. 그리고 여기는 입주한 상태이기에 바로 세입자를 구하시면 사실 큰돈 들이지 않고 내 집마련할 수 있는 로또라 할 수 있습니다. 물론 계약을 위해선 일단 어느 정도 목돈은 있어야겠지요.. 뜻이 있으신 분들은 도전해 보세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클릭하세요.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

경제 2023.03.09

영화 "대외비"를 보고 와서

지난 월요일에 아내와 시간을 내서 영화를 보고 왔어요. 딱히 보고 싶은 게 있어서 간 건 아니었고 시간이 돼서 갔던 거라 시간대 맞는 영화 골라 들어가게 된 게 "대외비"였어요. 영화를 보며 조진웅과 이성민, 그리고 김무열 씨의 연기에 감탄했습니다. 다들 한 연기하셔서 영화 보는 내내 흥미진진하게 봤습니다. 과거 우리나라 정치의 현실을 너무나도 직설적으로 표현했다고 할까요? 물론 지금도 저런 정치인들 천지이겠지요. 안 보신 분들 있다면 한 번 보세요. 진짜로 극장에서 볼만한 영화였습니다. 네이버에 보니 평점들이 낮던데 제 개인적으로 평점(5점 만점)을 내리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4점

카테고리 없음 2023.03.09

대중교통(버스,지하철)에서도 마스크 벗는다.

이번달 안에 대중교통에서도 마스크를 벗게 된답니다. 개인적으로 코로나 전에 마스크를 거의 안 써봤기에 코로나기간 동안 많이 힘들었었지요.. 대중교통 외에는 마스크를 벗게 된 이후에 저는 해방감을 느꼈답니다. 아! 이제 마스크 안 써도 되는구나 싶어서요. 그런데 웬걸 주변 사람들이 마스크를 계속 쓰는 거를 보고 당황했습니다. 전 세계에서 마스크를 이렇게 열심히 쓰는 나라는 우리나라와 일본밖에 없다지요? 근데 참 이상한 건 식당에서도, 카페에서도 사람들은 마스크를 안 쓰더군요.. 참 이율배반적이라 느꼈습니다. 물론 대중교통에서 마스크를 벗으라고 하더라도 당분간 사람들은 계속해서 마스크를 쓸거라 봅니다. 언제쯤 우리나라에서 마스크에서 완전하게 자유하게 될까요? ㅜㅠ https://im.newspic.kr/Fa..

카테고리 없음 2023.03.09

CU,몽골300호 개점

몽골의 한국사랑이 대단한가 봅니다. 지나가는 사람 중 10명 중 1명은 한국말을 한다고 하니 말 다했지요. 그런 분들이 한국에서 경험했던 편의점 문화를 자국에 그대로 가져가 사업을 하다 보니 지금에까지 오게 되었다고 합니다. 사실 몽골이 식문화가 발달되지 못했는데 한국의 다양한 식문화 그리고 그들의 입맛에 맞는 것들이 CU와 같은 업체들이 자리 잡을 수 있는 큰 힘이 되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가 앞으로도 몽골과 윈윈 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들이 있었으면 합니다. https://im.newspic.kr/zVNVhXH CU, 몽골 300호점 개점… 시장 점유율 70% BGF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CU가 몽골에 300호점 개점을 개점했다. 9일 CU에 따르면 지난 7일 열린 몽골 CU 300호점 오픈식에는 ..

경제 2023.03.09

전매 제한 해제와 양극화

디플레이션이 현실화되고 있는 시점에 부동산의 거품이 엄청 꺼졌지요.. 그런데 한국 경제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그 의미는 남다른 면이 있기에 정부 차원에서 방관만 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래서 그동안 묶였던 여러 제한들을 풀고 있는 실정이지요. 그러다 보니 서울의 인기 있는 지역들은 조금씩 살아나기도 하고 안정되는 측면도 있지만 그것이 아직 지방까지는 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는 어쩔 수 없는 현실인거지요. 그러다 보니 양극화가 심화되는 거겠지요.. 그런데 문제는 양극화가 기존에 비해 더 심해진다는 겁니다. 사람들이 몰리는 곳은 그만한 이유가 있는 것이기에 그것을 비난할 수는 없는 것이지요. 우리 사회는 이러한 문제를 앞으로 어떻게 해결해 나갈까요? https://im.newspic.kr/9LRG5..

경제 2023.03.09

서울 랜드마크 서울 링

런던에 "런던 아이"가 있다면 서울에는 서울 링이 잏게 되는거지요. 랜드마크가 만들어 지는 것은 환영할만 합니다. 외국인들이 서울에 왔을때 한번쯤 가볼만한 곳이 더 생기는 거닌깐요.. 그러나 항상 문제는 어떻게 만드느냐 이겠지요. 이왕에 만드는거 대한민국의 기술이 확연하게 드러나는 최고의 건축물이 세워지길 바랍니다. https://im.newspic.kr/puoMbdt 서울 랜드마크 '서울링', 하늘공원에 조성…2027년 완공 [한국금융신문 주현태 기자] 오세훈 서울시장이 서울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꼽은 높이 180m 규모의 대관람차 ‘서울링(Seoul Ring)’이 상암동 하늘공원에 조성된다. 수익형 민 im.newspic.kr

경제 2023.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