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중국을 벗어나니 세계가 보인다

칼궁 2023. 5. 31. 10:12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766785?cds=news_my

반도체 생산 40%, 배터리 소재 80%… 대륙에 발목 잡혀

[1] 이젠 리스크가 된 차이나 시장 세계 최대 반도체 소비국인 중국에 대규모 생산 기지를 구축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중국발 리스크’에 직면해 있다. 현재 삼성전자는 낸드플래시(낸드)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766774?ntype=RANKING

중국 벗어나니 세계가 보이더라, 中의 압박이 부른 반전

20년 중국 의존증, 기업들 사활 건 체질 개선 수출 감소와 무역수지 적자가 오래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까지 수출은 7개월 연속 감소했고, 무역수지는 14개월 연속 적자 행진 중이다. 하지만 그 이

n.news.naver.com

조선일보에서 기획기사로 차이나 쇼크 이후의 우리나라 경제를 분석한 기사가 나와 참고하여 글을 씁니다.

우리나라는 주변국이 참 지랄 맞습니다. 중국, 러시아, 북한, 그리고 일본. 어디 하나 쉬운 나라가 없지요.


일본은 미국과 함께 같은 진영에 서 있으나 같은 편이라고 말하기가 참 어렵습니다. 러시아는 수많은 자원의 보고이고, 우리의 국방기술에 많은 도움을 준 나라이지만 진영이 다르다 보니 이번처럼 전쟁이 날 경우 무역이 자유롭지 못합니다. 북한이야 답이 없고, 중국은 인구도 많고 자원도 많아 우리나라 무역에 많은 도움이 되나 저들의 콧대가 너무 높고, 사기도 잘 치고, 진영도 다르다 보니 함께하기 참 불안한 나라이지요.


이러한 상황에서 러시아와 중국이 우리와 최근 점점 멀어지고 있습니다. 러시아는 전쟁 때문이고, 중국은 미국과의 대립 때문인데 이러다 보니 우리나라의 무역과 기술, 자원... 등 상당히 많은 부분에 있어 그동안 무역에 있어 지켜오던 전략이 수정되어야만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습니다.

특히 중국과  멀어지는 것은 우리에게 큰 타격입니다. 그동안 인구도 제일 많았고, 자원도 많다 보니 참 유용한 나라였는데 말입니다. 더 이상 중국을 의지해서는 안 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상황이 이렇다 보니 모든 기업들이 원자재  수입원도 바꿔야 하고, 수출 주력  국가도 바꿔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 것이지요.

이웃나라끼리 사이좋게 잘 지내면 얼마나 좋을까요? 그런데 현실은 녹록지 않네요.

생산단가를 생각하면 가까운 곳에서 원자재를 수입하는 게 낳은데 중국이 안되니 이젠 세계에서 대신할 곳을 찾아야 합니다. 그러니 기업들마다 머리가 아프겠지요..

그러나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은 영원한 우방도 없고 적도 없다는 것입니다. 그동안 감사하게도 이웃들과 그나마 잘 지냈지만 이젠 아니니 어쩔 수 없는 것이고, 추후에 상황이 또 변하면 주변국들을 이용하면 됩니다.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우리나라는 맨바닥에서부터 시작했다는 것입니다. 그러기에 기업들이 힘들지만 잘 극복해 나갈 것으로 믿습니다. 그래요. 힘들더라도 파이팅 하고 잘해보자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