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788350?cds=news_edit
독립군 87명의 기록 발견되었습니다
대만에서 안중근 의사 등 한국 독립운동가 관련 고문서가 발견됐습니다. 현 중국 공산당이 아닌 옛 중국 국민정부의 총통부 군사위원회가 1940~1950년대 작성한 ‘인사등기권’에 안중근, 안정근, 신익희, 홍진, 지청천, 조소앙 등 6인의 신상이 적혀 있었던 것입니다. 지난달 대만 국사관에서 발굴된 것을 국가보훈부가 알아내 17일 국내에 공개했습니다.
보훈부에 따르면, 이번에 발굴된 인사등기권의 신익희 지사 관련 기록에는 일본 와세다 대학 재학, 임시정부 내무·법무총장 역임, 해방 후 국회의장 역임 등 신상 이력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안중근 의사와 안정근 의사
안중근 의사의 동생인 안정근 의사의 경우 지금까지 1940년대 활동이 거의 드러나지 않았지만, 인사카드에는 “한국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갖고 있으며, 임시정부 요직에서 일했고, 영국과 미국 정부와 직접 연계 가능하며 중앙 차원에서 관계를 맺어야 하는 인물”이라는 평가가 담겼습니다.
특히 1910년 순국한 안중근 의사에 대해서는 순국 35년이 지난 1945년 8월 21일 인사기록을 남겼다는 점에서 당시 중국 국민정부가 고인의 의거를 어떻게 평가했는지 짐작할 수 있다고 보훈부는 설명했습니다.
이번 문서 발견의 의의
김영신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은 “(국민당 정부에서) 주요 한인에 대한 조사 보고를 작성했음을 확인시켜 주는 사료”라며 “한국 독립운동가에 대한 인사기록 카드 실물이 소개된 경우가 드물다는 점에서 이번 발굴 사료의 의미가 크다”라고 말했습니다.
보훈부는 한국광복군 제1지대 대원 87명의 성명과 성별 등이 상세히 기록된 문서도 이번에 최초로 발굴됐다고 밝혔습니다.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중국 국민정부에 보낸 ‘한국임시정부양식부안권(韓國臨時政府糧食部案卷)’ 제목의 문서철입니다. 1941∼1944년까지 대한민국임시정부 계열 단체에서 중국 국민정부 행정원에 보낸 양식 공급 요청 문서들이 모여 있습니다.
이 자료에는 한국광복군 등 임시정부 예하 단체들이 국민정부에 직접 보낸 공문과 단체의 소속 대원 성명·성별·나이·주소·소속 등이 수록됐습니다.
이 가운데 ‘한국광복군 제1지대관병대원권속청구평가화명책(韓國光復軍第1支隊官兵隊員眷屬請購平價花名冊)’ 제목의 문서에서는 이종건, 김정숙 등 광복군 제1지대 요원 87명의 명단이 확인됐습니다.
보훈부는 “이들 중 현재 독립유공자로 포상되지 않은 광복군 독립운동가 40여 명이 확인돼 향후 독립유공자 발굴·포상 업무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라며 “여기에 여성 인명이 많이 발견됐는데, 그동안 입증 자료가 부족했던 해외 여성 독립운동가의 발굴 포상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했습니다.
박민식 보훈부 장관은 “조국 독립을 위해 일생을 헌신하셨던 선열들의 독립운동 역사를 발굴하고 예우하며 후대에 계승하는 것은 ‘국가를 위한 헌신을 끝까지 책임지는 일류보훈’으로 나아가는 길”이라며 “보훈부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사료 수집 등을 통해 알려지지 않는 독립운동가를 발굴·포상하는 한편, 독립운동 역사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를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에도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한국광복군과 이범석 장군
참고로 한국광복군은 1940년 9월 17일 중국 충칭(重慶)에서 창설됐습니다. 우리 국군의 토대가 됐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초대 대한민국 정부인 이승만 정부의 초대 국무총리 겸 국방부 장관이 광복군 출신의 이범석 장군입니다.
한국광복군기념사업회는 지난 12일 용산 전쟁기념관에서, 한국광복군유족회는 지난 15일 여의도 광복회관에서 각각 기념식을 열어 광복군을 기렸습니다.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츠하이머병도 초음파로 치료할수 있나? (193) | 2023.09.27 |
---|---|
영종·인천대교 통행료, 주민 무료… 일반인은 반값 (202) | 2023.09.25 |
홍범도는 영웅인가? 역적인가? (186) | 2023.09.15 |
이탈리아의 푸른 꽃게 한국으로 (170) | 2023.09.14 |
서울시, 내년부터 월 6만 5천원만 내면 지하철,버스 그리고 자전거까지 무제한 (147) | 2023.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