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나 혼자 힘들게 산다. 10명중 6명 연소득 3000만원 이하

칼궁 2023. 12. 13. 05:02

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5113601?cds=news_my

나혼자 힘들게 산다...10명중 6명 연소득 3000만원 못미쳐

매해 늘어나는 1인 가구가 750만명을 넘어섰다. 3가구 중 1가구가 나혼자 사는 셈이다. 이들 가구 중 10명 중 6명은 연 소득이 3000만원을 넘지 못했다. 자산 규모도 전체 가구 평균절반에 못 미쳤다.

n.news.naver.com

매해 늘어나는 1인 가구가 75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3 가구 중 1 가구가 나 혼자 사는 셈입니다. 이들 가구 중 10명 중 6명은 연 소득이 3000만 원을 넘지 못합니다. 자산 규모도 전체 가구 평균절반에 못 미칩니다. 절반 이상은 40㎡(12.1평) 이하에 거주하고 주택 소유율은 30%입니다. 이들 중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을 받는 1인 가구는 전체 대상 가구의 72.6%를 차지합니다.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 통계로 보는 1인 가구’에 따르면 지난해 1인 가구는 750만 2000 가구로 1년 전보다 33만 6000 가구 증가했습니다. 1인 가구가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21년 33.4%에서 2022년 34.5%로 올라섰습니다. 지난 2005년 20% 수준에 그쳤던 1인 가구 비중은 지난 2019년 30%를 넘어선데 이어 지난해 다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29세 이하가 19.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다음으로 70세 이상 18.6%, 30대 17.3%, 60대 16.7%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은 "30대 이하 1인 가구의 증가는 혼인 연령이 늦어진 데 따른 영향”이라며 “기대 수명이 늘어나면서, 60대 이상의 고령층의 1인 가구도 함께 느는 추세”라고 설명했습니다.

1인 가구가 늘고 있지만 살기는 더 팍팍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1인 가구 연소득은 3010만 원이었습니다. 전체 가구 평균(6762만 원)의 44.5% 수준입니다.

소득 구간별로 보면 연 소득 3000만 원 미만인 가구가 전체의 61.3%를 차지했습니다.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26.8%)의 2배 이상입니다. 전체 가구 중 연 소득 1억 원 이상이 20%인 것에 비해 1인가구는 2.0%에 불과했습니다.

지난해 1인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155만 1000원으로 전체 가구 평균(264만 원)의 58.8% 수준이었습니다. 지난해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을 받는 1인 가구는 123만 5000 가구로, 전체 대상 가구의 72.6%를 차지했습니다. 역대 최대 규모입니다.

통계청은 "1인 가구 중 소득이 없는 고령층 비중이 늘어난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1인 가구의 자산은 전년보다 0.8% 감소한 2억 949만 원으로, 전체 가구 평균(5억 2727만 원)의 39.7% 수준입니다.

1인 가구는 전체 가구보다 금융자산 비중은 높은 반면 부동산 등의 실물자산 비중은 낮은 모습을 보였습니다.

부채는 1.9% 늘어난 3651만 원으로 전체 가구 평균(9186만 원)의 39.7% 수준이었습니다. 지난해 기준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을 받은 1인가구는 123만 500 가구로 전년보다 6.4% 늘었습니다. 전체 수급 가구 가운데 72.6%가 1인가구로, 역대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지난해 1인 가구의 주택 소유율은 30.9%로 전체 가구 56.2%보다 25.3% 포인트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2021년 기준 1인 가구의 주거면적은 40㎡(12.1평) 이하인 경우가 54.6%를 차지해 가장 많았습니다. 비중은 전년(50.5%)보다 늘었다. 지난해 기준 취업한 1인 가구는 455만 5000 가구로 60.7%를 차지했습니다. 나머지 39.3%는 무직이라는 의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