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news.naver.com/article/448/0000440712?sid=100
북한을 그동안 달래고 특히 햇빛정책을 했던 이유는 평화통일을 위함이었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며 알게 된 사실은 북은 우리가 어떠한 정책을 펼치든 핵을 포기하지 않으며 평화통일을 원치 않는다는 사실입니다. 그러한 측면에서 보면 이번의 신원식 국방부 장관의 주장은 이미 시행이 되었어야 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연구가 있었어야 했습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굳이 북을 자극하지 말자는 의미에서 자재되어 왔었던 것입니다.
그러나 경제력과 국사력에 있어 이만큼 차이가 나는 현시점에서 굳이 북의 눈치를 볼 이유는 없습니다. 단지 강력한 국방력을 기반으로 북을 압박해 가는 것이 이 나라의 안녕을 위해서는 더욱 바람직하다 여겨집니다. 왜냐하면 저들이 계속 도발하는 이유는 내부적인 문제도 있지밀 그렇게 해도 우리가 먼저 북을 공격하지 않는다는 것을 믿기 때문입니다.
다음은 북의 계속된 도발에 대한 신원식 국방장관의 인터뷰입니다.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시험발사한 18일 북한이 도발을 계속한다면 이른바 '참수작전'으로 불리는 한미의 적 수뇌부 제거 훈련을 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신 장관은 이날 MBM '뉴스 7'에 출연해 '김정은이 가장 두려워한다는 참수작전 훈련이나 전략자산 추가 전개를 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참수(작전 훈련)에 대해서는 공개적으로 말씀드리기 어렵다"면서도 "두 가지 다 옵션으로 고려하고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오늘 주한미군 홈페이지에 한미 특수전 부대 훈련이 공개됐다"며 "이번 주에 한미 특수전 부대는 공중기동, 핵심시설에 대한 습격, 내부소탕 훈련을 하고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주한미군은 이날 트위터에 최근 주한 미 특수작전사령부의 그린베레(Green Beret)와 네이비실(Navy SEAL)이 대한민국 특수전사령부 등과 함께 2주간의 연합 훈련에 참가했다고 공개한 바 있습니다.
신 장관은 전략자산 추가 전개에 대해서도 "수일 이내로 협의하고 있다"며 "전략자산 전개에 따른 한미훈련, 한미일 훈련까지 염두에 두고 협의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날 발사된 ICBM은 고체연료 ICBM '화성-18형'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앞서 북한은 고체연료를 사용해 연료 주입 절차 없이 기습 발사가 가능한 화성-18형 ICBM을 올 4월과 7월에도 시험발사했었습니다.
신 장관은 "화성-18형이라고 본다"며 "비행고도와 거리, 최고속도를 볼 때 7월 발사한 화성-18형과 유사하다. 비행 면에서는 성공한 거로 평가한다"라고 언급했습니다.
이어 "액체가 아닌 고체라 보는 건 3단 추진 로켓을 사용했기 때문"이라며 올해 2, 3월에 발사한 액체연료 기반 화성-15, 화성-17형은 2단 추진 로켓을 썼다고 덧붙였습니다.
다만 "가장 중요한 탄두의 대기권 재진임은 검증하기 어렵고 아직 완성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한다"며 "실제 무기가 되려면 재진입이 되어야 하는데 거기까지 이르지 못한 것으로 평가한다"라고 했습니다.
북한이 지난주 한미 핵협의그룹(NCG) 회의와 미 전략자산 전개에 반발해 도발한 것이냐는 질문에는 "그건 북한의 핑계"라고 비판했습니다.
신 장관은 "북한은 자신들의 핵 고도화 일정에 따라 (도발을) 착착 진행한다"며 "2021년 1월 김정은이 직접 전략무기 5대 과업을 지시했고, 오는 12월 27일 9차 전원회의 때 성과를 확실히 보여주기 위해 (고체연료 ICBM을) 최종 발사했다고 평가한다"라고 말했습니다.
한미일이 연내 가동에 들어가는 미사일 경보정보 실시간 공유 체계에 대해서는 "24시간 안에 발표할 것"이라고 예고했습니다.
북한의 추가 도발 징후에 대해서는 "핵·미사일 관련 활동은 계속하고 있다"며 "한미가 그런 징후를 감시하고 있다"라고 했습니다.
'국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월부터 한국전투기 중국방공구역진입... 중국의 침범에 비례 대응 (69) | 2023.12.30 |
---|---|
엔지니어를 공격한 테슬라 로봇 (89) | 2023.12.29 |
겨울이 시작된 한국& "150년내 최고 '적설량' 신기록 세운 모스크바 (75) | 2023.12.17 |
미국 고교서 여성만 임신가능에 오답처리 (101) | 2023.12.16 |
멜론 먹고 8명 사망… “껍질 깐 조각 멜론에 살모넬라균 감염” (106) | 2023.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