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160

비트코인 10만달러? 100만달러?

힘들고 어려웠던 시간이 지나고 암호화폐 시장에 봄이 서서히 다가오고 있습니다. 16000달러대까지 갔던 비트코인이 지금은 27000달러까지 올랐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바라보는 올해 목표가는 전고점인 68000달러까지 오르는 게 아니라 10만 달러는 넘을 거라고 합니다. 그럼 비트코인은 앞으로 얼마까지 갈까요? 너무 멀리 보면 어렵고 앞으로 5년 후의 가격을 예상해 봅시다. 여러분은 얼마까지 간다고 생각하시나요? 최소 100만달러 가겠지요? 많은 사람들이 희소성으로 인해 최소 거기까지 간다던데... 그럼 리플은 얼마? https://im.newspic.kr/G37uZ7K 올해 비트코인 10만달러 돌파 가능할까...'신고점 경신' 기대감 높아져비트코인(BTC)은 올해 들어 지금까지 70% 가까이..

경제 2023.03.23

보험/카드사 성과급 논란과 배당잔치 2조8000억원 현금배당

어떤 회사든지 수익을 많이 내면 성과급과 배당을 하는 게 맞습니다. 그러나 그 회사가 은행이나 보험사라면 영 찜찜하고 달갑지 않습니다. 이럴 거면 국민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대출이자라도 조금 빼주는 게 바람직하지 않나 싶습니다. 이번에 보험과 카드회사들이 고액의 상여금과 2조8천억원의 배당으로 인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국민들은 허리띠 단디매고 이는데... 모르겠어요. 회사닌깐 당연하다고 생각 들다가도 왜 이리 부아가 일까요?

경제 2023.03.23

파월. 연중 금리 올해안에 한 번 더 올릴수도

아무래도 파월이 이상합니다. 자국 내 은행들이 파산하고 금융위기가 계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내 금리인하에 대해 반대를 표했습니다. 그러면서 작금의 문제를 은행의 부실로 한정지 었다는 거지요. 과연 그럴까요? 아닙니다. 작금의 미 은행의 문제는 시스템과 금융 정책의 문제가 더 큽니다. 은행지급보유율을 0%로 해놓은 건 각각의 은행들이 아닙니다. 그건 미 정부가 한 일이죠. 그러면서 뭐라구요? 우리는 여기서 미국의 의도를 살펴야 합니다. 사우디가 미국의 손아귀에서 벗어나기 시작한 단계에서도 자신감 있는 미국의 이러한 대책은 아직 미국은 다른 카드가 남았다는 것으로 들립니다. 마치 이 문제를 정책적으로 푸는 것이 아니라 전쟁을 통해 풀겠다는 의지로 보이는 것은 제 착각일까요? 아님 다른 방법이 진짜로 있는..

경제 2023.03.23

현대카드 국내 첫 Apple pay 공급

해외에서 히트를 치고 있는 Apple pay가 현대카드를 통해 21일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선 보였답니다. 국내시장에서 삼성pay가 선점하고 있는 Apple pay가 얼마나 따라잡을 것인지 지켜봐야 할것입니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Apple 폰을 쓰는 사람들이 굳이 삼성페이를 쓸 이유는 없겠지요.. 하지만 Apple pay 가 얼마나 많은 카드사와 협약하느냐가 시장장삭의 가장 큰 장벽이 되겠지요. 한번 지켜봅시다. 그 벽을 넘슬지 아니면 포기할지... https://im.newspic.kr/eqy0bzD 현대카드, 국내 첫 ‘Apple Pay’ 공급...사용 가능한 곳은 어디?(사진=현대카드·현대커머셜 뉴스룸 제공) [소비자경제신문=김연주 기자] 현대카드가 지난 21일 국내에서 정식으로 Apple Pay 서..

경제 2023.03.22

예금보호한도

우리나라 은행들의 예금보호한도는 2001년 이후 지금까지 5000만 원입니다. 즉 은행이 파산할지라도 보호받는 금액이 5000만 원이라는 거지요.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제 규모로보면 한참이나 낮은 금액입니다. 그래서 정치권에서는 5000만 원에서 1억으로 올리려고 한다네요. 그러나 제 생각에는 1억 도 낮고 최소 2억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예금보호한도가 이슈가 된 것은 미국의 SVB의 파산으로 인해 미국과 우리나라가 비교도면서 부터입니다. 왜냐하면 미국은 예금보호한도가 3억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미국은 우리나라보다 경제 규모가 더 큽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5000먄원은 너무 낮은 금액입니다. 은행은 기본적으로 고객이 돈을 맡기면 그 돈으로 운영되는 구조입니다. 입금할 때는 한도가 없는데 줄 땐 보..

경제 2023.03.22

KRX 금값 역대 최고

20일 한국거래소(KRX)에서 2014년 3월 24일 KRX 금시장이 거래를 시작한 이후 최고가인 1g당 8만3천490원으로 장이 마감했답니다. 불안한 국제정세가 반영된 것입니다. 현금시장은 불안하고 암호화폐는 아직 신뢰를 못하는 사람들이 안전자산인 금을 매수하고 있는 것이지요. 사실 미국 SVB의 파산으로부터 시작된 은행들의 파산행렬이 우리에게 큰 두려움을 주고 있습니다. 미국을 넘어 유럽의 은행까지... 특히 스위스의 2위 은행인 크레디트 스위스(CS)의 유동성위기로 인해 USB스위스 은행이 인수하는 이 모든 상황은 IMF와 지금까지의 국제 위기를 겪은 우리로서는 더욱 불안할 수밖에 없지요. 빨리 국제정세가 안정이 되었으면 합니다. 최대한 우리나라가 이 태풍을 피해 갔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https..

경제 2023.03.21

베를린시, 2030년까지 기후중립달성 두고 26일 주민투표

기존 베를린시의 기후중립 목표 달성이 2045년이었으나 2030년까지 15년 당기는 것을 두고 26일 주민투표를 한다고 합니다. 지금은 반대보다 찬성이 우세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가 깨끗해지고 건강해지는 것을 목표로 나아가는 것은 옳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시도가 과연 진정으로 옳은가에 대해서는 한번 더 고민해야 할 것 같아요. 지구는 오랜 시간 동안 더워졌다가 차가워졌다가를 반복해 왔습니다. 즉 지금의 온난화를 단순히 인간의 환경파괴만을 원인으로 삼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거예요. 전기세가 또 오른다지요? 왜 그럴까요? 네 환경친화적이라는 이유로 원자력발전소은 가동중단하고 태양열 발전소를 짓다 보니 원가가 상승하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다시 원자력을 가동하면 된다고 하나 원자력발전소는 ..

경제 2023.03.21

2분기중에 전기료 또 오르나?

한국 전력의 적자가 30조 원이 넘게 되었다고 합니다. 계속 커지는 적자에 전기세 인상이라는 카드를 또다시 꺼내게 된 것입니다. 이 모든 게 대책 없이 태양열 발전소를 짓고,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중단하며, 쓸데없이 출생률이 떨어지는 가운데 한전대학교를 지으면서 어느 정도 예상되던 결과입니다. 어느 정권이든지 정책을 세울 때에는 조금 더 장기적인 시각과 대책이 필요합니다. 조금만 더 신중했으면 합니다. 요즘 월급 외에는 다 올라 우리를 힘들게 하고 있습니다. 특별히 지난겨울 가스요금이 올라 얼마나 가스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애썼는지... 그렇다고 한전이 망하게 둬서야겠나요? 국민 모두가 노력해야겠지요... 근데 얼마나 오를까요? ㅜㅠ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

경제 2023.03.18

전세대출 3%대 생겼다.

요즘같이 고금리 시대에 반가운 소식은 전세대출가운데 3%대가 생겼다는 것이다. 물론 카카오뱅크는3.13%이고 케이뱅크는 3.79%,그리고 시중은행중 유일하게 국민은행이 3.94%이다. 물론 지금의 금리는 정부의 압박이 한몫했다. 모로가도 국민들이 혜택만 받는다면 되지요.^^ 그런데 미국과 유럽 은행들의 파산위기로 인해 미국 연준의 금리상승은 힘들것으로 보이긴 합니다. 그러나 당분간 급격한 금리 인하는 없어보이니 다들 힘내시고 조금이라도 아껴봅시다. 저도 은행이자로 허리가 휘다 못해 꺾일것 같습니다. 이 어려운 시기 함께 이겨내봅시다. https://im.newspic.kr/n4iVYfT 전세대출 금리 3% 초반 진입…제일 싼 곳 어디?[아이뉴스24 박은경 기자] 은행권의 전세 대출 금리가 3% 초반으로 ..

경제 2023.03.18

미국, 중국, 그리고 한국 은행의 지급준비율 0%,7%,7%

중국이 27일 자로 지급 준비율을 0.25% P인하하여 7.6%가 된다고 발표했습니다. 지급준비율을 내린다는 것은 그리 좋은 싸인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은행이 가지고 있는 돈이 적어진다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 예로 지급준비율이 8%일 때, 고객이 은행에 100만 원을 맡겼을 때 그중 고객에게 돌려주기 위해 최소한 8만 원은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인데 이것이 7%가 되었을 때는 7만 원 가지고 있게 됩니다. 그것은 곧 은행의 재정건전성이 낮아진다는 뜻이 되지요. 그래서 지급준비율이 떨어진다는 것은 좋은 싸인이 아닙니다. 그렇기에 이러한 뉴스는 중국은행의 재정 건정이 낮아졌다고 이야기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우리가 알아야 하는 것은 세계적으로 은행들의 일반적인 지급준비율은 7~10%입니다. ..

경제 2023.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