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160

북극항로와 부산의 미래

https://m.blog.naver.com/kriso_pr/222483178425 [해인싸] 북극항로, 수에즈운하 대신할 수 있을까?지중해와 홍해를 최단 거리로 잇는 수에즈운하는 152년 전인 1869년 11월 17일 개통되었습니다. 193.5㎞의 ...blog.naver.com매력적인 북극항로최근 러시아가 북극항로의 진입을 막는 조치로 인해 이슈가 된 북극항로. 사실 북극항로는 지구의 온난화로 인해 얻게 된 부산물입니다. 워낙 춥다 보니 한해의 절반이상이 얼음으로 뒤덮인 북극항로가 지구의 온난화로 인해 러시아를 돌아 유럽으로 가는 항로가 열리게 되었습니다. 이 북극항로를 이용하면 거리는 7000km가 줄어들고 이로 인해 항해기간은 10일이 단축됩니다. 그러다 보니 기존대로 수에즈운하를 통과하는 항로보..

경제 2023.07.26

이차전지를 만드는 참치회사, 동원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776810?sid=110 [경제포커스] 참치 회사는 어떻게 이차전지 시장을 뚫었나참치 넣으려 캔 제조업 시작… 그 기술로 배터리 캔 시장 진입 완전히 새로운 영역 뚫기보다 잘하는 기술 확장해 ‘혁신의 사슬’ 1960년대 태평양을 누비던 청년 선장 김재철의 배를 일본 원양n.news.naver.com오늘은 재밌는 기사가 있어 가져왔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동원참치가 이차전지를 만들게 되었다고 하네요. 참치회사가 이차전지의 연결고리를 생각하면 바로 와닫지 않습니다. 그런데 동원이 참치캔을 만들면서 싸인 기술이 이차전지를 만들 수 있게 한 원동력이라고 하네요. 그 뒷이야기를 함께 살펴봅시다. 동원의 역사1982년, 김재철 선장이 참치..

경제 2023.07.22

리플(XRP)의 적정가는 얼마일까요?

리플의 장점리플(Ripple)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결제 프로토콜 및 통화 시스템입니다. 리플은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는 주요 장점들입니다. 1. 높은 처리 속도와 확장성: 리플은 초당 수천 건의 거래를 처리할 수 있으며, 이는 전통적인 금융 시스템보다 훨씬 빠르고 효율적인 거래를 가능하게 합니다. 2. 저렴한 거래 수수료: 리플의 거래 수수료는 매우 낮습니다. 따라서 적은 금액의 송금도 경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3. 중앙화된 결제 시스템과의 경쟁력: 리플은 기존의 중앙화된 결제 시스템과 경쟁하고자 하며, 전 세계의 금융 기관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습니다. 이는 전통적인 금융 시스템과 디지털 자산 간의 상호 운용성을 높여줍니다. 4. 신뢰성과 안정성: 리플 네트워크..

경제 2023.07.16

리플(XRP) 승소

리플(XRP)이 드디어 SCE와의 소송이 끝났습니다. 힌먼판사가 리플이 고객에게 판매한 것은 증권이 아닌 것으로 판결함으로써 지금 리플이 떡상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리플러로써 오랫동안 기다렸는데... 이제 고생 끝 행복시작이 되겠네요.^^ 이제 남은 건 얼마까지 오르느냐입니다. 행복한 기다림이 드디어 시작되었네요. ㅎㅎ 구체적인 내용이 확인되는데로 다시 올리겠습니다. https://youtu.be/rrkpDHYFRyE

경제 2023.07.14

일안해도 월급보다 더 주는 실업급여 제도 손본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774041 “일 안 해도 월급보다 더 줘”… 실업급여 제도 손본다국민의힘 노동개혁특별위원회가 정부 측과 회의를 열고 실업급여 제도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하기로 했다. 실업급여로 받은 돈이 일할 때 받는 세후급여보다 더 많은 ‘역전 현상’을 개선하기 n.news.naver.com실업급여 문제국민의힘 노동개혁특별위원회가 정부 측과 회의를 열고 실업급여 제도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하기로 했습니다. 실업급여로 받은 돈이 일할 때 받는 세후급여보다 더 많은 ‘역전 현상’을 개선하기 위함입니다. 정부는 이미 지난 3월부터 실업급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사가 참여하는 ‘고용보험 제도개선 태스크포스(TF)’를 운영 중이라네요. 고용노동부가 지난 ..

경제 2023.07.07

소형모듈원전(SMR)에 민관 의기투합...SMR얼라이언스 출범

https://n.news.naver.com/article/081/0003374267?cds=news_my ‘우리집 옆 원전’ 소형모듈원전에 민관 의기투합…SMR 얼라이언스 출범산업부·한수원 등 정부·공공기관 11곳 SK·GS에너지·삼성물산 등 31개 참여 SMR 사업 전략, 제도 기반 조성 수립 산업장관 “정책적 지원 아끼지 않겠다” 회장사 SK “SMR 안전성 널리 알릴 것” 정n.news.naver.com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6829 "대형원전 비켜라"···전세계 민간 중심 소형원전 '각광' - 헬로디디소형원전(SMR) 시장 선점을 위한 물밑 각축전이 치열하다. 한국도 새 정부 출범으로 탈원전 정책이 폐기되며 대형원전 건설과 ..

경제 2023.07.05

행안부 연체율 급등한 새마을금고 100곳 특별점검ㆍ검사나선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042532?sid=100 행안부, '연체율 비상' 새마을금고 100곳 특별점검·검사 나선다법인대출 연체율 10% 육박…사업장 전담 관리제도 도입 행정안전부가 연체율 급등으로 부실 우려가 제기되는 새마을금고 100곳에 대해 금융감독원, 예금보험공사 등과 5주간 특별점검·검사에 나n.news.naver.com위기설에 휩싸인 새마을금고의 수신잔액이 두 달 새 7조 원가량 줄었다고 합니다. 특히 부동산 경기악화로 법인대출 연체율이 1분기 기준 10%에 육박하였다고 합니다. 이러자 행정안전부가 연체율 급등으로 부실 우려가 제기되는 새마을금고 100곳에 대해 금융감독원, 예금보험공사 등과 5주간 특별점검·검사에 나서기로 했다고 합니다. 새마..

경제 2023.07.04

반도체 2나노 전쟁... 삼성&TSMC

https://n.news.naver.com/article/020/0003506355?cds=news_edit 반도체 ‘2나노 전쟁’… 삼성-TSMC 생존게임글로벌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시장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2나노 전쟁’이 본격화됐다. 인공지능(AI)과 자율주행 등에 필수적인 첨단 반도체 생산을 위해 한국 대만 미국 일본 등 반도체 n.news.naver.com삼성전자의 2 나노 공정 계획삼성전자는 27일(현지 시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삼성 파운드리 포럼 2023’에서 2 나노 공정 양산 계획을 구체화했습니다. 삼성전자는 파운드리 고객사와 파트너사 등 700여 명이 모인 현장에서 “2025년 모바일용 2 나노 공정을 양산하고, 2026년 고성능 컴퓨팅(HPC)용을, 2027년에는 차..

경제 2023.06.29

흑석동 자이 줍줍이에 93만 여명이 몰렸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6889843?cds=news_my '최소 5억 차익' 흑석자이 2가구에 93만여명 몰렸다…역대 최고 경쟁률서울 동작구 '흑석리버파크자이' 줍줍 물량 2가구에 93만여명이 몰렸다. 특히 무순위 청약 물량인 전용면적 59㎡의 경쟁률은 지난 2020년12월 29만8000명 대 1을 넘는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26일n.news.naver.com어제 아내에게 문자를 받았습니다. 흑석동 자이아파트 줍줍이에 신청하라고 말이죠. 그래서 알아봤습니다. 이 아파트는 이미 입주를 한 상태인데 계약취소물량이 2세대 나왔습니다. 즉 84㎡와 59㎡가 각각 한 세대씩 나왔드랍니다. 그런데 여기서 84㎡는 서울에 사는 무주택자가 신청 가능하고, 59㎡..

경제 2023.06.27

라면 다음은 누구? 나? 밀가루 국제가 50%하락

https://n.news.naver.com/article/661/0000027343?cds=news_my "라면 뿐일까, 다음은".. 나? 인하 파장, 어디까지라면에 이은 정부발 '가격 인하 압박'이 전방위로 번지는 양상입니다. 최근 추경호 경제부총리가 국제 밀 가격 인하를 근거로 라면업계에 대해 공개 경고를 한 이후 식품업계가 긴장하고 있습니n.news.naver.com최근 라면가격이 인상된 이후 말이 많았습니다. 그러던 중, 추경호 부총리가 라면가격의 인하를 직접적으로 언급하자 업계가 긴장하기 시작했지요. 그리고 추경호 부총리가 이야기하는 근거는 최근 밀가루의 국제 가격이 최고가 대비 50%가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이는 2010년 수준의 가격입니다. 사실 기업의 가격정책을 국가에서 간섭하는 것이 옳..

경제 2023.06.22